New to Nutbox?

2024/5/17(금)역사단편46: 전후 삼한고(前後 三韓考)

2 comments

neojew
70
2 months agoSteemit2 min read

단재의 전후삼한고 1부를 읽어본다.

  1. 인용서의 선택

1.1.인용서의 진위 변별

아직 고분 발굴이나 고적 탐사나 유물 유적 연구 같은데 지식과 기구가 모두 부족한 우리로서는
우리 고사를 연구하려면 오직 옛 사람이 끼친 서적으로 자료 삼을 뿐인 것은 물론이다.
서적이라면 우리의 것뿐 아니라 인접국의 것도 가능하며,
지난시대의 소위 정사(正史)라는 것보다도
혹 신화, 소설, 요담(妖談), 잡서에서 직접 혹 간접으로 사적 가치를 더 얻는 수도 있지만,
그러나 이는 선택할 줄을 안 연후의 일이다.

어찌 아무 변별도 없이 조선에 관한 기재만 있으면
산해경이나 죽서기년이나 포박자(抱朴子: 도교 이론서)나
박물지(博物誌: 백과사전)같은 것을 가치를 묻지 않고 인용하며,

후세 사람의 위조라고 세상사람 모두가 다 말하는 요전('상서'중의 편명)과
우공(禹貢: 상서)의 우이(嵎夷)니 도이(島夷)니 하는 것을 가져다가
4, 5천년전 조선사의 한 장을 채우려 함은 또한 가소로운 일이 아니냐.

페리클레스가 속인 기록에 의하여 아테네는 매번 스파르타를 이긴 줄로 알며,
기전 390년 갈리아 인(人)의 침략 이후에 로마인이 나중에 기록한 로마 옛 사서에 의하여
옛 로마의 연대 사적 등을 믿으면 너무도 어리석은 일이라 할 것이다.
​그러므로 고대사(古代史)를 논술함에 먼저 인용서의 가치를 성찰할 것이다.
<출처:전후 삼한고>

우이(嵎夷): 해가 돋는 곳, 산모퉁이에 사는 오랑캐
도이(島夷): 섬나라 오랑캐

단재는 영어에도 능통해서 유럽의 역사서들도 읽었다.
그 과정을 통해 분명하게 깨우친것은 한가지.
모두가 자국 중심으로 역사서를 기록했다는 점이다.

'아'와 '비아'의 투쟁에 대한 기록이 곧 역사서인데
어떻게 남에 시각에서 역사를 배우면 어떻게 될까.

Comments

Sort byB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