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to Nutbox?

경제정책의 방향전환과 생산성 향상

0 comments

pys
73
15 days agoSteemit3 min read

포스팅이미지.png
세계무역 시스템은 중국의 위선(僞善)적 무역정책을 반영한 개혁이 요구된다. 그리고 미국의 시간제 일자리 평가절하는 생산성 향상 정책으로의 전환을 저해(沮害)할 우려가 있다. 한편 中경제는 서비스업 생산성 향상을 통한 성장 전략이 필요하다. 결함이 있는 경제정책은 생산적인 방향으로 전환이 필요하다.

  • 세계무역 시스템 개혁

중국은 자국의 전략산업에 보호무역주의(Protectionism)를 지향하는 반면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Deduction Act) 관련해서는 WTO(World Trade Organization, 세계무역기구)에 이의를 제기한다. 이와 같이 중국은 WTO체제에 반하는 위선적(僞善的) 행동을 취하고 있으며 선진국들도 이를 오랫동안 방관(傍觀)한다. 이에 WTO 체제의 약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무역체제가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주요 무역수지 흑자 및 적자국가들이 협의체를 구성하고 국제무역에 참가하면서도 각국의 경제 및 정치적 상황을 고려한 새로운 체제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 美시간제 근무와 생산성

시장에선 최근의 고용증가 대부분이 임시직 고용에 기인하기에 질적 측면에서 긍정적 현상이 아니라는 의견이 제기된다. 그러나 이는 임시직 노동자들이 노동력부족 문제의 해결 및 임금증가율 둔화 등에 기여하는 점을 간과(看過)한다. 또한 임시직 노동자들의 생산성 향상 대책도 마련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들의 생산성을 높이게 되면 인플레를 유발하지 않는 상황에서의 임금인상 등 긍정적인 경제적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대다수 시간제 근로가 경제적 이유보다는 육아 등 자발적 선택에 기인하므로 정규직 노동자들의 근무유연성 확대 등으로 시간제 근무의 질을 높이는 노력 등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中경제 성장 전략

中당국은 전기자동차 및 로봇 등 신기술 패권(覇權)을 통한 성장과 생산성 향상을 강조하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이에 대한 비판도 제기된다. 첫째 과거 유사한 「중국 제조 2025」 정책은 막대한 보조금에도 효과가 미미(微微)하다. 둘째 첨단 제조업 우선주의는 부동산경기 침체, 고용불안 등을 해결할 정도의 성장유도가 어려울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최근 10년 동안 GDP(Gross Domestic Product)대비 제조업 비중이 감소하고 서비스업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中당국은 가계소득을 높여 서비스수요를 늘리고 서비스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민간투자 등에 집중함이 중요하다.

中과잉생산 지속

중국을 방문한 美옐런 재무장관에 의하면 중국은 모든 부문에서 과잉생산에 나서고 있으며 특히 청정에너지 부문의 경우 매우 심각하다. 일부 전문가들은 바이든 美정부가 중국산 전기자동차 및 배터리 등에 추가 관세를 부여할 수 있다고 평가한다.

  • 경제정책의 방향전환

세계적으로 다음과 같이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는 3가지 오류가 존재한다. 첫째 청정기술 관련 중국의 대규모 생산능력이 미국과 유럽에 위협이라는 인식이다. 하지만 소비자에게는 지출축소 등의 편익제공이 가능하다. 오히려 상대적으로 부진한 수요를 늘려 서구기업의 성장을 도모하는 것이 적절하다. 둘째 기업의 부채는 반드시 상환되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과거 유럽의 위기는 당국

이 은행의 부채탕감(蕩減)을 거부했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에 과도한 부채가 있는 기업에게 대출기관이 손실을 부담하도록 유도하여 위험을 분담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최저임금에 대한 특정한 형태의 반대이다. 우려와 달리 최저임금이 고용 혹은 생산성 향상을 저해(沮害)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점차 받아들여지기 시작한다. 일부에서는 오히려 생산성 향상을 유도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Comments

Sort byB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