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to Nutbox?

도덕경 공부 제38장

0 comments

cjsdns
88
14 days ago2 min read

도덕경 공부 제38장/cjsdns

上德不德(상덕부덕) : 상덕은 자신의 덕을 내세우지 않는다.
是以有德(시이유덕) : 그러기에 덕이 있게 된다.

下德不失德(하덕불실덕) : 하덕은 덕을 잃지 않으려 아등바등 한다.
是以無德(시이무덕) : 그러기에 덕이 없게 된다.

上德無爲而無以爲(상덕무위이무이위) : 상덕은 무위하며 억지로 일을 도모하지 않는다.
下德爲之而有以爲(하덕위지이유이위) : 하덕은 억지로 일을 도모하니 일이 번잡해진다.

上仁爲之而有以爲(상인위지이유이위) : 상인은 억지로 일을 도모하니 일이 번잡해진다.
上義爲之而有以爲(상의위지이유이위) : 상의는 억지로 일을 도모하니 일이 번잡해진다.
上禮爲之而莫之應(상례위지이막지응) : 상예는 억지로 일을 도모하니 조용히 응대함만 못하다.
則攘臂而扔之(즉양비이잉지) : 소매를 걷고 끌어당겨 사람을 부담스럽게 한다.

故失道而後德(고실도이후덕) : 도가 없어지면 덕이 나타나고
失德而後仁(실덕이후인) : 덕이 없어지면 인이 나타나고
失仁而後義(실인이후의) : 인이 없어지면 의가 나타나고
失義而後禮(실의이후례) : 의가 없어지면 예가 나타난다.

夫禮者(부례자) : 예는
忠信之薄(충신지박) : 충성과 신의의 얄팍한 껍질이며
而亂之首(이란지수) : 혼란의 시작이다.

前識者(전식자) : 앞을 내다보는 것은
道之華(도지화) : 도의 꽃이며
而愚之始(이우지시) : 어리석음의 시작이다.

是以大丈夫處其厚(시이대장부처기후) : 그러므로 대장부는 두터움에 머물고
不居其薄(불거기박) : 얄팍한 데 거하지 않는다.

處其實(처기실) : 열매에 머무르고
不居其華(불거기화) : 꽃에 거하지 않는다.
故去彼取此(고거피취차) :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취한다.

스스로 내세우지 않기에 덕이 있고 굳이 내세우려 하니 덕이 머물지 못하여 덕이 없다. 스스로 이루어 짐은 상덕이고 내세움은 하덕,이고 상인, 상의, 상예를 내세우니 덕이 없어지고 덕이 없으니 인을 찾고 의를 찾고 마지막 보루인 예가 나타난다.

우리가 그토록 중히 여기던 것도 결국은 예이었는데 그 예는 충성과 신의의 얄팍한 껍질이며 혼란의 시작이다,라는 말은 충격이다.
큰사람이 된다는 것이, 도를 터득한다는 것이 결국은 어려운 일이며 영광보다는 열매를 중히 여기고 거한다는 것은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또 하나의 밀알이 되거나 누군가의 양식이 될 열매에 머물며 영광을 이야기하는 꽃에 머물지 않는다는 이야기는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대장부는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가를 이야기하는 오늘의 말씀 조금은 두렵다.

도덕경 해설집 인용 및 출처:
네이버 블로그
노자 <도덕경> 원문해석
https://m.blog.naver.com › chamnet21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번역:도덕경
https://ko.wikisource.org › wiki ›

2024/11/20
천운

Comments

Sort byBest